✅ 화살표 함수의 리턴 방식 차이
화살표 함수에서는 소괄호(())와 중괄호({})에 따라 반환 방식이 달라집니다.
🔹 소괄호 사용 시 (())
소괄호를 사용하는 경우, 명시적인 return 없이도 자동으로 반환됩니다.
const test = () => (
a = 12
);
console.log(test()); // 12
🔸 중괄호 사용 시 ({})
중괄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eturn을 명시해야 값을 반환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
const test = () => {
return a = 12;
};
console.log(test()); // 12
const test = () => {
a = 12;
};
console.log(test()); // undefined
💡 요약
형태 | 자동 반환 | return 필요 여부 |
() => (값) | O | X |
() => { ... } | X | O (return 필수) |
화살표 함수에서 간단한 표현식은 소괄호로,
여러 줄 로직이나 조건문이 있을 경우는 중괄호와 return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❗️Swiper 모듈 사용 시 modules 설정 필수! (0) | 2023.12.17 |
---|---|
[페이지 이동] window.location 메서드 정리 (reload, href, assign, replace) (0) | 2023.11.28 |
[트러블슈팅] Zoom 오디오 꺼짐 시 이벤트 처리 (0) | 2023.09.14 |
[트러블슈팅] 여러 페이지에서 중복된 쿼리 사용 시 에러 발생 (0) | 2023.09.10 |
Early Return 하는 코드를 작성하자 (0) | 2023.08.19 |